Host, Switch, Network
host: 컴퓨터가 Network에 연결이 돼 있으면 호스트라고 부른다.
- 호스트는 크게 network 이용주체와 network자체로 나뉜다.
Switch : 컴퓨터가 network에 연결된 호스트가 아닌 컴퓨터 자체가 network를 이루고 있을때 Switch가 된다. 대표적으로 Router가 있다.
EndPoint : network 이용주체의 다른말이다. 이용주체는 Peer, Server, Client등으로 기능과 존제의 이유에따라서 나뉜다.
NetWork: 가장 큰 풀이 internet이다 이 internet을 이루는 핵심 구성요소가 Router와 dns가 됩니다.
네트워크 자체를 이루고 있는 컴퓨터가 switch고 대표적인 스위치가 라우터가 있다. 방화벽이나 IPS또한 스위치이며 이와같이 보안을위해 스위칭을 하는 것을 보안 스위치라고 합니다.
OSI 7 계층에서 2계층부터 (L2스위치) ~ 7계층(L7스위치)으로 이동 이 계층에서 계층의 수가 높을수록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들어가게 된다. 라우터는 3계층에 속하는 장비이다. 흔히 TCP/IP로 불리는데 이 이유또한 TCP는 4계층 IP는 3계층에 있어서 계층이 다르기때문에"/"가 붙여진다.
IP주소와 Network
Ip는 호스트에 대한 식별자 입니다. 대한민국의 행정체계에 각 개인을 식별하기위해 주민등록증이 나오는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IP : internet Protocol의 약자
현제 버전이 두가지가 있다. IPv4(32bit)와 IPv6(128bit)로 이루어 져있다 (홀수번째 ip는 다음 주소체계로 가기위한 테스트 주소)
이 bit수가 의미하는 바는 인터넷 세상에 호스트를 들일수 있는 주소가 ipv4기준으로 약 43억정도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현제 여러가지 기술로인해 아직까진 ipv4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의 32비트 까지 사용할 수 있고 32비트를 8비트로 4조각내서 사용합니다.
ex ) 0.0.0.0 ~ 255.255.255.255 까지의 모든 경우의수
이때 각 자릿수를 이진수로 이해하는것도 중요하다
그 이유는 넷마스크를 이해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리고 이 주소 체계는 각 자릿수마다의 약속이 있습니다.
첫째자리 부터 셋째자리까지는 networkID로 불리고 넷째자리는 hostId로 불립니다.
ip주소 = networkId + hostId
예를 들어 networkId가 24비트라고 할때 ip는 총 32비트이니 hostId는 8비트가 되는 것입니다.
이 8비트에 대한 값의 정의를 "넷마스크"라고 합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하자면
192.168.60.14 와 255.255.255.0 이 두값을 bit연산으로 AND연산을 합니다.
이 두 값의 엔드 연산결과는 11000000 입니다. 그 후 다시 ip로 치환하면 192.168.69.0이 되고 이를 networkId라고 합니다.
그럼 이에 대한 넷마스크에 대한 표기를 255.255.255.0으로 하면 표기상 좀 좋지 않으니까 ip뒤에 /24로 표기합니다. 이를 보고 hostId가 8비트까지 사용할 수 있구나 라는것을 알 수 있게됩니다.
최종 넷마스크까지 표기한 결과는 192.168.69.0/24 가 됩니다. 이와 같이 표기하는 것에 대한 용어가 있는데 이를 서브넷 이라고 부릅니다.
서브네팅
서브넷팅은 IP 주소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원본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서브넷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뜻한다. 서브넷팅은 서브넷 마스크의 bit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서브넷마스크의 bit수를 1씩 증가시키면 할당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2배수로 증가하고 호스트 수는 2배수로 감소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단위 (0) | 2023.08.20 |
---|---|
Switch가 하는 일이 뭘까? (0) | 2023.08.20 |
개발자 관점에서의 Port 번호 (0) | 2023.08.20 |
MAC,IP,Port 번호가 식별하는것 (0) | 2023.08.20 |
프록시란? (0) | 202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