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2

Linux/ACL/권한 응용해서 계정 복구하기

ACL (access control list)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확장 속성을 만들어주는 기능 setfacl == acl설정 명령어 -m : acl수정 -x : acl삭제 -b : 모든 acl삭제 getfacl == acl 확인 명령어 acl 설정 ex) setfacl -m u:korea:rwx /acl setfacl -m g:korea:rwx /acl setfacl -m o:rwx /acl alc 삭제 ex) setfacl -x u:korea /acl 모든 acl 삭제 ex) setfacl -d /acl acl 확인 ex) getfacl /acl -acl 작업 이전의 기본 속성 정보는 ls명령어 출력 결과와 동일 -acl 작업 이후에는 ls명령어로는 정확히 확인이 안 되기 때문에 getfacl명령어..

LINUX 2021.11.03

Linux/특수 권한(2) (sticky bit/SetUID/SetGID)

특수 권한 ex) r w s r w x r w x ==Set UID : 권한 시작 값이 4000번대로 시작한다./owner에 s가 있다면 x가 같이 있다고 생각하면된다. 위 권한 값은 4777 r w x r w s r w x ==SetGID : 권한 시작 값이 2000번대로 시작한다. /group에 s가 있다면 x가 같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위 권한 값은 2777 r w x r w x r w t == sticky bit : 권한 시작 값이 1000번대로 시작한다./other에 t가 있다면 x가 같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위 권한 값은 1777 sticky bit = 게시판 성격의 특수권한/ 디렉터리 허가권 게시판의 성격을 닮았다는 말은 내가 게시판에 글을 올렸을 때 내가 쓴 글을 지울 수 있는 사람..

LINUX 2021.11.03

머신러닝 기본 이론

통계 기본 이론 예측 분석학 - 대전제는 역사는 반복적이다. - 과거 데이터에 대한 적합화를 수행하여 이를 테스트 - 결과 성능에 대한 척도가 검증되면 - 동일 모델에 대해서 미래 예측에 활용 독립 변수 - 관측치, 입력 변수, 특징, feature, 설명변수 등 종속 변수 결과 변수, 반응 변수, 응답 변수, 설명된 변수, 측정된 변수, 레이블, 실험 변수 등 변수들로 이루어진 수학식 - 이를 이용하여 계산 후 실제에 적용 - 이를 통해서 추정을 한다 -> 통계 학문 가정 - 항상 모든 변수들이 만족해야하는 기본 가정으로부터 시작한다. 머신러닝 - 의의 - 머신 러닝은 과거 경험에서 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을 미래의 결정에 이용하는 전산학의 한 분야 - 전산학과 공학, 통계학의 교집합으로 볼 수 있다 -..

카테고리 없음 2021.11.02

Linux/ 권한(1)/허가권,소유권/아파치 설치하기

권한 == 허가권, 소유권, 특수권한(허가권, 소유권 등등을 합쳐서 권한이라 표현) 리눅스 시스템의 장점 중 하나가 다중작업 시스템에 용의 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권한 설정 부분을 중요하게 여긴다. 만약에 누군가가 내가 작업한 내용을 날리면 안 되기 때문이다. 권한은 이제껏 명령어처럼 외워서만은 사용하기 힘들고 이해를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한다. ex ) drwxr-xr-x 3 root root 18 11월 1 16:24 account 허가권 drwxr-xr-x : permission(허가권) 일반적으로 9자리로 표현 첫번째 자리 d or - : 파일 형식 d는 디렉터리 -는 파일 2,3,4번째 자리 : owner -소유자, 사용자에 대한 허가권 *100 단위 5,6,7 번째 자리: gro..

LINUX 2021.11.02

Linux/account management(사용자 계정관리)/그룹 관리

/etc/group : 시스템에 생성되어 있는 그룹 정보 확인 groupadd [그룹 이름] -g : GID설정을 하면서 그룹을 만든다. groupmod [그룹 이름] -g : GID수정 groupmod -n [사용할 그룹명] [기존 그룹명] :그룹명 변경 groupdel [그룹명] : 그룹 삭제 사용자 그룹 관리 usermod -G [가고 싶은 그룹명] [사용자명] : 새로운 그룹에 추가 소속 usermod -g [가고싶은 그룹명] [사용자명] : 기본 그룹 변경 그룹 설정 gpasswd : 그룹 패스워드 설정 또는 그룹 관리 진행 명령 -a옵션은 사용자를 그룹에 등록시켜 주는 옵션이다. ex) gpasswd -a [계정명] [그룹명] -d :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 제거하기 ex) gpasswd -d ..

LINUX 2021.11.01

Linux/account management(사용자 계정관리)/ 사용자 정보 수정,삭제/ mailx

사용자 정보 수정 usermod : 사용자 정보 수정 useradd : 와 사용 형식 동일 == useradd는 생성, usermod는 수정의 의미 usermod [옵션] [인자값] [계정명] usermod 옵션은 useradd의 옵션과 같은 것이 많다. -d :홈 디렉터리 수정 -홈 디렉터리를 수정할때는 기존에 사용자 파일을 가고자 하는 경로에 사용자 디렉터리를 이동 또는 복사해줘야 한다. -c : 코멘트 수정 -d : shell타입 수정 사용자 계정 삭제 userdel [계정명] : 계정만 삭제하고 사용자 홈 디렉터리 파일은 그대로 남겨놓는다. 후에 계정 복구도 가능 userdel -r [계정명] : 계정을 포함한 홈 디렉터리까지 깔끔하게 삭제한다. 수동으로 삭제를 진행할 때는 사용자 홈 디렉터리와 ..

카테고리 없음 2021.11.01

Linux/user account management(사용자 계정 관리)(/etc/shadow)(/etc/skel)

사용자 관련 파일, 디렉터리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etc/gshadow /etc/login.defs /etc/default/useradd /home/ /etc/skel/ /etc/shadow /etc/shadow == 사정자 패스워드 관련 설정 정보 /etc/shadow의 필드 ex ) user3:$6$2 tHTpn.d$c0 IqgO2 DrH..... IOboEtnQgosZ5 hCyiDf/:18930:0:99999:7::: 첫 번째 필드 (user3) : 계정명 두 번째 필드 :암호화된 사용자 패스워드 세 번째 필드 (18930) : 패스워드 최종 수정 일 기준이 되는 날짜는 -> 1970년 1월 1일 기준으로의 일수 네 번째 필드 (0) :패스워드 변경 후 최..

LINUX 2021.10.30

Linux/user account management(사용자 계정 관리)(/etc/passwd)

일반 사용자 생성, 삽입, 삭제를 해보자. 사용자 관련 파일,디렉토리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etc/gshadow /etc/login.defs /etc/default/useradd /home/ /etc/skel/ /etc/passwd == 사용자 정보 확인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etc/shadow 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etc/passwd 에서 확인 이 파일만 잘 알아도 사용자 작업하기가 수월하다. 규칙 -각 필드는 :으로 나눈다. -각 필드마다 가지는 의미가 있다. ex) korea:x:1000:1000:korea:/home/korea:/bin/bash 첫 번째 필드 (korea) : 사용자 명 두 번째 필드 (x) : 패스워드 필드 -보안..

LINUX 2021.10.30

Linux/vi editor(2) 실행모드

vi editor는 윈도로 치면 한글 2002 같은 문서 편집 에디터이다 내용 삭제 하기 소문자 x : 커서 위치부터 삭제 대문자 X: 커서를 기준으로 앞부터 삭제 소문자 dd: 커서가 위치한 라인 한 줄 삭제 [숫자] + d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부터 지정한 수만큼 라인 삭제 ==블록 삭제 dw : 단어 삭제 d0 : 현제 커서가 위치한 부분 이전의 내용 삭제 d$: 현제 커서가 위치한 부분 이후의 내용 삭제 내용 복사 하기 소문자 yy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 복사 == 라인 복사 [숫자] + yy : 현제 커서가 위치한 라인부터 숫자수만큼 복사 == 블록 복사 붙여 넣기 소문자 p: 현제 커서가 위치한 라인 이후의 붙여 넣기 ==아래 대문자 P :현제 커서가 위치한 라인 이전에 붙여넣기 ..

LINUX 2021.10.29

Linux/vi editor (1)(입력모드,명령모드)

vi editor (visual editor) : 유닉스/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서 편집기 - 명령 모드, 입력 모드, 실행 모드로 구성 -- 모드 전환을 통해서 문서 편집 진행 editor를 사용할 줄 모른다면 리눅스 서버에 설정을 만질 수 없기 때문에 꼭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프롬프트에 vi라고 입력하면 위와 같이 문서 창이 나온다 윈도로 치면 한글 2002 같은 기능 login.defs라는 파일 안으로 들어가는 명령어 vi명령어를 사용해서 login.defs문서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vi editor 상하좌우 커서 이동 단축키 h(좌) j(하) k(상) l(우) 복잡해 보여도 막상 눌러보면 굉장히 편하게 돼 있다. vi editor 단축키 w : 다음 단어의 처음으로 이동 b :..

LINUX 202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