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136

HTML,CSS,자바스크립트 관계, HTML 배치

HTML 기본개념 html은 문서를 만들기 위한 한글오피스 같은 것이다. html은 마크업 랭귀지 태그로 구성된 열고 닫는 태그들이 있고 그 태그들이 블락을 가지고 있는지 인라인을 가지고 있는지만 알면 html은 끝이다. 인라인은 옆으로 흐르듯이 작성되는 속성 블락은 밑으로 흐르듯이 작성되는 속성 쉽게 말해서 어떤 태그들이 있는지 알고 그 태그들이 블락인지 인라인인지 아는 게 html의 전부라는 것이다. 이 html문서를 동적으로 반응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자바 스크립트이다 CSS 기본개념 CSS는 html로 만들어진 문서를 디자인하는 목적이 있다. 기본적인 html5의 구조이다. head에는 CDN을 주로 넣는다. body에는 브라우저가 출력해주는 태그이다. 이 body안에 있는 내용들을 동적으로 반..

HTML,CSS 2021.07.12

사설아이피(우리가 한집에서 여러 아이피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

Ipv4 v4는 버전 4 (버전 6까지 있음) 버전이 바뀌면서 개수가 달라졌다. 짝수번호로 버전이 출시가 된다. 아이피는 쉽게 말해 주소다 v4는 2에 32승 지구 상에 42억 9천 개의 아이피가 있다. 000.000.000.000 0~255까지 된다. 한 칸에 2에 8승이니까 한 칸에 8bit까지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170.001.1.50 이란 아이피가 있다 이 아이피는 전 세계에 여러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아이피를 a라는 집에 제공이 된 것이다. 그렇다는 말은 이아이피로 한대의 컴퓨터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인데 그럼 너무 아이피가 제한적이게 된다. 이때 공유기를 사용해서 티브이도 보고 컴퓨터도 여러 대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유기 아이피는 192로 시작하는데 이런 픽스된 아이피를 사설 아..

cs 2021.07.09

Springboot사용해서 블로그 만들기 글쓰기기능(summernote에디터사용) 추가와 상세보기 페이지(삭제,수정) 회원정보 변경

웹에서는 인증(어선트케이션)과 권한(어 솔 라이즈)이 있다. 건물로 치면 입구에 들어가는 행위가 인증, 어떠한 방으로 들어가는 것은 권한인 것이다. jpa규칙 jpa는 형태만 똑같으면 되기 때문에 password에 별칭을 달아서 형태를 유지하되 password를 session에 담기지 않도록 했다. jpa규칙 jpa는 형태만 똑같으면 되기때문에 password에 별칭을 달아서 형태를 유지하되 password를 session에 담기지 않도록 했다. 저번에 구현했던 회원가입 파일을 복사해서 위와 같이 수정했다. readonly는 수정이 불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속성 required는 해당 태그가 입력 없이 subimt이 안되도록 사용자에게 강제하는 속성 규칙 EL표현식은 위와 같이 변수로 담아서 보내면 톰캣이..

Springboot 2021.07.07

SDK사용해서 SMS서비스 만들기

sdk(소프트웨어 디벨롭 키트) sdk는 다운로드하는 것이다 그래서 api와 다르게 주소 요청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sdk를 사용하기위해서 일단 위 사이트를 가입해야 한다. 초기에 300원 정도 테스트 비용을 준다. javaProject를 만 든다. 위 jar파일을 lib폴더에 넣어서 build path를 시킨다음 위 샘플 코드에 String api_key와 api_secret키에 추가시키면 된다 위 샘플을 함수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Springboot 2021.07.06

Spring boot/JPA 실습 양뱡향 매핑, 지연 로딩(lazy loading), 영속성 컨텍스트, toString오류와 noSession오류

양방향 매핑 일단 더미 데이터가 필요해서 생성해준다 자주 쓸 것 같으니까 redme에 추가시켜준다. jpa에서 orm을 해줄 때 위 주소를 /test/post/1을 호출해주면 이 1은 user오브잭트가 아닌데 어떻게 데이터를 호출해줄까? 바로 ManyToOne에서 보고 프라이머리 키인 것을 인식한 후에 해당 오브젝트로 때려주는 것이다. 근데 만약에 user에서 post를 orm을 하려고 한다면 주석을 꼭 공부할것. 왼쪽@JsonIgnoreProperties({"user"})를 붙여주지 않고 호출하면 아래와 같이 무한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른쪽@JsonIgnoreProperties({"user"})를 붙여주고 호출했을 때다 post를 컬랙션으로 설정한 이유는 유저 한 명은 여러 개의 게시글을 작성..

Springboot 2021.07.02

GIT 기본 개념 GIT HUB저장소랑 연결하기

일단 첫 번째로 자신의 GITHUB에 자신의 아이디로 로그인한다. 그다음 새로운 레파지토리를 하나 생성한다 push라는 명령어는 형상관리 명령어가 아니라 그냥 업로드하는 것이다 자신의 레파지토리 주소를 복사하고 paste를 눌러서 복사한 주소를 붙여 넣는다 주의할점 공용 컴퓨터를 사용할 때 꼭 주의하여야 할 사항이 git에 한편 연결이 되면 내 github에 아이디와 비번이 윈도우 자격이 컴퓨터에 남아서 다른 사람이 내 github에 마음대로 접근하고 파일도 업로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제어판-> 사용자 계정 들어가서 빨간 네모 탭에 github에 관련된 데이터가 있으면 github를 사용하고 난 후에 꼭 여기로 들어가서 내 개인정보들을 삭제해줘야 한다 origin의 뜻은 원격지라는 뜻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1.07.02

GIT 기본 개념

GIT은 버전 관리와 형상관리를 동시에 해주는 필수적인 프로그램이다.(리눅스 기반) A라는 프로젝트를 GIT에 저장하면 다른 개발자가 A-1이라는 수정 파일을 올렸다 그럼 기존에 있던 A라는 파일을 커밋하고 A-1 파일이 업로드된다. 커밋: 영구히 보관할 때 사용 -- 는 풀내임을 적고 -는 약어로 들어온다. GIT은 리눅스기반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아무런 메시지가 안 뜨면 정상 실행된 것 get init 이라는 명령어를 쓰면 세 가지 영역이 생긴다 작업 영역 -> 인덱스 영역-> 해드 영역 작업 영역은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 중이다. 그때 한파트를 완성한 후에 add를 명령하면 인덱스 영역에 트리로 저장된다. 그리고 그 완성된 파일을 영구히 저장하고 싶을 때 커밋을 하는 것이..

카테고리 없음 2021.07.02

Spring boot/JPA실습 부트스트랩 사용해서 로그인 기능 연습해보기(2)

저번 포스팅에서 이어서 작성됐습니다. 로그인 기능 위 로그인 기능이 실제 서비스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에게 굉장히 불친절한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1. 메시지 경고창이 없음 2. 아이디 지워지는 게 맘에 들지 않는다. 3. 회원정보 수정이 없다. 그래서 위 불편사항을 수정해 보겠다. 3. 회원정보 수정이 없다. 위 teglib는 필요할 때마다 내가 복사해서 쓸 것이다. 주석을 꼭 참고해서 보시길. jstl문법이다 if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test속성의 값으로 조건을 걸면 된다. empty연산자는 null과 equls를 동시에 체킹 해준다. 로그아웃 기능 구현 1. 메시지 경고창이 없다 java에서의 String특징 String컨스턴트 풀 컨스턴트 = 상수 String이 기존에 있던 객체에 추가적으로 ..

Springboot 2021.06.30

Spring boot실습 {RestFullAPI}

RestFullAPI 웹을만들때 서버를 만드는 사람이 자원의 주소를 설정할때 서버를 만드는사람이 자기 마음대로 해 버리면 통일성이 없어서 작업하는데 소통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주소를 설정할 때 약속을 정했다. 데이터를 리턴하는 주소를 설정할땐 규칙이 있고 그것을 지켜줘야 통일성있는 협업을 할 수 있다 1. 소문자를 사용한다. 주소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하므로, 카멜방식이 아닌 소문자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2. 언더바를 대신 하이픈을 사용한다. 가급적 하이픈의 사용도 최소화하며, 정확한 의미나 표현을 위해 단어의 결합이 불가피한 경우에 사용한다. 3. 마지막에 슬래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슬래시는 계층을 구분하는 것으로, 마지막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4. 행위는 포함하지 않는다. 행위는..

Springboot 2021.06.29

Spring boot실습-OSI통신

알로하 통신(알로하 프로토콜) 하와이에서 통신기술이 생겨날 때 섬끼리 선을 연결하기가 어려워서 통신을 주파수로 통신하기 시작했다. 불특정 다수에게 주파수를 보내는 통신이 브로드 캐스팅기술이다. 불특정 다수에게 주파수를 다 전달하는 것(와이파이) 보안이 별로 좋지 않다. 신호가 섞이면 잡음이 생긴다. 이때 컴퓨터는 두 개의 같은 신호를 구별하기 힘들어진다. 그래서 동시에 오는 여러 가지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를 받은 다음 나머지 주파수는 누락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너무 오래 걸린다. 한쪽에서 통신을 하게 되면 다른 사람은 통신을 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브로드캐스팅으로 보낼 때 데이터를 분할을 해서 분할된 데이터에 해더를 붙인다. 그래서 복잡하게 얽혀서 쓰레기처럼..

Springboot 2021.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