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136

Linux/yum/centos7 에 mariadb 설치

yum == RPM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설치/제거 도구 윈도 설치 작업을 한 다음에 제일 먼저 드라이버 패치 작업을 해 준다음 윈도 업데이트 작업을 해 준다. 리눅스 또한 업데이트 명령어 yum update 패키지 다운로드 yum install [패키지명] yum의 장점은 의존돼 있는 패키지까지 한 번에 다운로드하여준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의존성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yum의 명령어의 기본 전제조건은 인터넷 연결이 돼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y:다운로드 시에 사용자 동의를 구하는 작업 생략 옵션 mariadb 설치 다운로드가 잘 돼 있다. yum으로 삭제 진행을 할 때는 install자리에 remove옵션을 넣어주면 된다. 정리 yum == rpm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설치 ..

LINUX 2021.11.08

Linux/RPM (redhat package management)

linux package installation(리눅스에서 프로그램 설치 과정) *. c(소스파일) -> *. obj(목적 파일) -> *. exe(실행파일)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단 소스파일부터 구성을 한 다음에 컴파일링 작업을 거치게 되면서 하나의 목적 파일이 구성이 된다. 이때 컴파일링 작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기계어로 변환하는 것 또 한나는 문법적 오류검증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목적 파일은 linking을 통해서 실행파일이 되는데 linking은 파일이 각자 자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작업이다. 1. 소스 - 컴파일 - 환경설정 - 설치 - 실행 : tar& make -직접 프로그램 소스파일을 구해서 설치하고 자신의 linux에 맞게 환경 설정까지 하는 완전 수동 ..

LINUX 2021.11.06

Linux/파일 압축,해제하기

compress compress는 쉽게 말하자면 윈도에서 알집 같은 파일을 압축해주는 방법이다 리눅스 압축 도구 == compress, zip, gzip, bzip2, xz 도구에 따라서 압축 성능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gzip, bzip2, xz 등을 주로 사용한다. 압축하기 압축되기 전과 후의 파일을 비교를 해보면 확장자가 붙었고 파일의 사이즈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그리고 원본이 사라진다. 리눅스 시스템을 작업해 줄 때 원본이 사라지는 작업은 항상 신중하게 해야 한다. 똑같은 용량의 파일은 각기 다른 도구로 압축했더니 용량이 각기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정리 compress 압축 ==Z확장자, 원본 사라짐 gzip 압축 == gz확장자, 원본 사라짐 bzip2 압축 == bz2확장자, 원본 사라..

LINUX 2021.11.05

Linux/umask

umask :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시켜줄 때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허가권 값을 설정해주는 방법 줄 수 있는 가장 높은 허가권에서 내가 주고 싶은 허가권 값을 했을 때 나오는 그 나머지 값이 umask값이다. ex) 디렉터리 : 777 - [허용할 허가권] 파일 : 666 - [허용할 허가권] - 파일은 문서 파일 기준으로 계산 umask값 변경하기 umask [변경할 umask값] ex) umask변경 값은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재부팅 시에 다시 돌아오게 된다. 영구적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etc/profile 경로로 가서 vi에디터로 60번째 62번째 값을 수정하면 된다.

LINUX 2021.11.05

Linux/ACL/권한 응용해서 계정 복구하기

ACL (access control list)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확장 속성을 만들어주는 기능 setfacl == acl설정 명령어 -m : acl수정 -x : acl삭제 -b : 모든 acl삭제 getfacl == acl 확인 명령어 acl 설정 ex) setfacl -m u:korea:rwx /acl setfacl -m g:korea:rwx /acl setfacl -m o:rwx /acl alc 삭제 ex) setfacl -x u:korea /acl 모든 acl 삭제 ex) setfacl -d /acl acl 확인 ex) getfacl /acl -acl 작업 이전의 기본 속성 정보는 ls명령어 출력 결과와 동일 -acl 작업 이후에는 ls명령어로는 정확히 확인이 안 되기 때문에 getfacl명령어..

LINUX 2021.11.03

Linux/특수 권한(2) (sticky bit/SetUID/SetGID)

특수 권한 ex) r w s r w x r w x ==Set UID : 권한 시작 값이 4000번대로 시작한다./owner에 s가 있다면 x가 같이 있다고 생각하면된다. 위 권한 값은 4777 r w x r w s r w x ==SetGID : 권한 시작 값이 2000번대로 시작한다. /group에 s가 있다면 x가 같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위 권한 값은 2777 r w x r w x r w t == sticky bit : 권한 시작 값이 1000번대로 시작한다./other에 t가 있다면 x가 같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위 권한 값은 1777 sticky bit = 게시판 성격의 특수권한/ 디렉터리 허가권 게시판의 성격을 닮았다는 말은 내가 게시판에 글을 올렸을 때 내가 쓴 글을 지울 수 있는 사람..

LINUX 2021.11.03

Linux/ 권한(1)/허가권,소유권/아파치 설치하기

권한 == 허가권, 소유권, 특수권한(허가권, 소유권 등등을 합쳐서 권한이라 표현) 리눅스 시스템의 장점 중 하나가 다중작업 시스템에 용의 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권한 설정 부분을 중요하게 여긴다. 만약에 누군가가 내가 작업한 내용을 날리면 안 되기 때문이다. 권한은 이제껏 명령어처럼 외워서만은 사용하기 힘들고 이해를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한다. ex ) drwxr-xr-x 3 root root 18 11월 1 16:24 account 허가권 drwxr-xr-x : permission(허가권) 일반적으로 9자리로 표현 첫번째 자리 d or - : 파일 형식 d는 디렉터리 -는 파일 2,3,4번째 자리 : owner -소유자, 사용자에 대한 허가권 *100 단위 5,6,7 번째 자리: gro..

LINUX 2021.11.02

Linux/account management(사용자 계정관리)/그룹 관리

/etc/group : 시스템에 생성되어 있는 그룹 정보 확인 groupadd [그룹 이름] -g : GID설정을 하면서 그룹을 만든다. groupmod [그룹 이름] -g : GID수정 groupmod -n [사용할 그룹명] [기존 그룹명] :그룹명 변경 groupdel [그룹명] : 그룹 삭제 사용자 그룹 관리 usermod -G [가고 싶은 그룹명] [사용자명] : 새로운 그룹에 추가 소속 usermod -g [가고싶은 그룹명] [사용자명] : 기본 그룹 변경 그룹 설정 gpasswd : 그룹 패스워드 설정 또는 그룹 관리 진행 명령 -a옵션은 사용자를 그룹에 등록시켜 주는 옵션이다. ex) gpasswd -a [계정명] [그룹명] -d :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 제거하기 ex) gpasswd -d ..

LINUX 2021.11.01

Linux/account management(사용자 계정관리)/ 사용자 정보 수정,삭제/ mailx

사용자 정보 수정 usermod : 사용자 정보 수정 useradd : 와 사용 형식 동일 == useradd는 생성, usermod는 수정의 의미 usermod [옵션] [인자값] [계정명] usermod 옵션은 useradd의 옵션과 같은 것이 많다. -d :홈 디렉터리 수정 -홈 디렉터리를 수정할때는 기존에 사용자 파일을 가고자 하는 경로에 사용자 디렉터리를 이동 또는 복사해줘야 한다. -c : 코멘트 수정 -d : shell타입 수정 사용자 계정 삭제 userdel [계정명] : 계정만 삭제하고 사용자 홈 디렉터리 파일은 그대로 남겨놓는다. 후에 계정 복구도 가능 userdel -r [계정명] : 계정을 포함한 홈 디렉터리까지 깔끔하게 삭제한다. 수동으로 삭제를 진행할 때는 사용자 홈 디렉터리와 ..

카테고리 없음 2021.11.01

Linux/user account management(사용자 계정 관리)(/etc/shadow)(/etc/skel)

사용자 관련 파일, 디렉터리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etc/gshadow /etc/login.defs /etc/default/useradd /home/ /etc/skel/ /etc/shadow /etc/shadow == 사정자 패스워드 관련 설정 정보 /etc/shadow의 필드 ex ) user3:$6$2 tHTpn.d$c0 IqgO2 DrH..... IOboEtnQgosZ5 hCyiDf/:18930:0:99999:7::: 첫 번째 필드 (user3) : 계정명 두 번째 필드 :암호화된 사용자 패스워드 세 번째 필드 (18930) : 패스워드 최종 수정 일 기준이 되는 날짜는 -> 1970년 1월 1일 기준으로의 일수 네 번째 필드 (0) :패스워드 변경 후 최..

LINUX 2021.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