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136

Linux/user account management(사용자 계정 관리)(/etc/passwd)

일반 사용자 생성, 삽입, 삭제를 해보자. 사용자 관련 파일,디렉토리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etc/gshadow /etc/login.defs /etc/default/useradd /home/ /etc/skel/ /etc/passwd == 사용자 정보 확인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etc/shadow 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etc/passwd 에서 확인 이 파일만 잘 알아도 사용자 작업하기가 수월하다. 규칙 -각 필드는 :으로 나눈다. -각 필드마다 가지는 의미가 있다. ex) korea:x:1000:1000:korea:/home/korea:/bin/bash 첫 번째 필드 (korea) : 사용자 명 두 번째 필드 (x) : 패스워드 필드 -보안..

LINUX 2021.10.30

Linux/vi editor(2) 실행모드

vi editor는 윈도로 치면 한글 2002 같은 문서 편집 에디터이다 내용 삭제 하기 소문자 x : 커서 위치부터 삭제 대문자 X: 커서를 기준으로 앞부터 삭제 소문자 dd: 커서가 위치한 라인 한 줄 삭제 [숫자] + d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부터 지정한 수만큼 라인 삭제 ==블록 삭제 dw : 단어 삭제 d0 : 현제 커서가 위치한 부분 이전의 내용 삭제 d$: 현제 커서가 위치한 부분 이후의 내용 삭제 내용 복사 하기 소문자 yy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 복사 == 라인 복사 [숫자] + yy : 현제 커서가 위치한 라인부터 숫자수만큼 복사 == 블록 복사 붙여 넣기 소문자 p: 현제 커서가 위치한 라인 이후의 붙여 넣기 ==아래 대문자 P :현제 커서가 위치한 라인 이전에 붙여넣기 ..

LINUX 2021.10.29

Linux/vi editor (1)(입력모드,명령모드)

vi editor (visual editor) : 유닉스/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서 편집기 - 명령 모드, 입력 모드, 실행 모드로 구성 -- 모드 전환을 통해서 문서 편집 진행 editor를 사용할 줄 모른다면 리눅스 서버에 설정을 만질 수 없기 때문에 꼭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프롬프트에 vi라고 입력하면 위와 같이 문서 창이 나온다 윈도로 치면 한글 2002 같은 기능 login.defs라는 파일 안으로 들어가는 명령어 vi명령어를 사용해서 login.defs문서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vi editor 상하좌우 커서 이동 단축키 h(좌) j(하) k(상) l(우) 복잡해 보여도 막상 눌러보면 굉장히 편하게 돼 있다. vi editor 단축키 w : 다음 단어의 처음으로 이동 b :..

LINUX 2021.10.28

Linux/베이직 커멘드(date,cal,find)

date : 시스템의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시간 정보 수정하기 날짜/시간/연도순으로 입력하면 위와 같이 수동 설정된다. 시간 정보는 서버 입장에서 로그를 남기거나 할 때 중요한 정보이다. 현실 시간에 맞춰서 설정해야 한다. 시간 자동 설정하기 rdate -s time.bora.net time.bora.net은 현재 시간 정보를 알려주는 서버 rdate -s: 외부에 있는 시간과 시스템 시간 동기화 cal :시스템 달력정보 확인 지금 현제 리눅스에 있는 목록만 골라서 찾는 방법 find: 검섹명령어 find [경로] [option] [file /directory] -type d는 디렉터리 -type f는 파일 -newer 옵션 : 지정된 파일이 생성된 이후에 작업한 목록 검색 find [경로..

LINUX 2021.10.28

JAVA/일반변수와 레퍼런스(참조) 변수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 변수의 선언 : 타입 변수; (ex: int num;) - 변수의 초기화(메모리 할당) : 타입 변수 = 값; (ex: int num = 10); 일반 변수와 레퍼런스 변수 - 일반 변수는 값을 가지고 있다. 컴파일 시점에 크기가 정해져 있다. (ex: int처럼 크기가 정해진 것) - 레퍼런스 변수는 주소값(4바이트)을 가지고 있다. 컴파일 시점에 크기를 알 수 없고 런타임에 알 수 있다. - 주소는 힙메모리 내 주소다. 일반 변수와 달리 주소 값(포인터)을 통해 재차 찾아가야 하므로 액세스가 2번 발생한다. 레퍼런스 변수 예시 - class MyData { int num; String name; } 로 예시 - 변수의 선언 : MyData myData; - 변수의 초기화(메모..

JAVA,객체지향 2021.10.27

메서드 Stack 메모리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에 Queue와 Stack이 있다. 쉽게 말하면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 큐는 원통처럼 입력과 출력이 각각의 위치에서 이루어지고 스택은 출구가 하나여서 하노이탑에 한 부분처럼 입력과 출력이 한 부분에서 이루어진다. 자바라는 언어는 인간이 이해할수 있는 언어지 엄밀히 따지면 컴퓨터 언어가 아니다.. java파일은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파일이라는 뜻이다. 그럼 이 .java파일을 JVM을 위해서 해석을 한다(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그렇게. class파일이 만들어지면 이. class파일은 JVM이 받아서 컴퓨터가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석을 한다. JVM 일처리 순서 1.. class파일 로드 2. Static 찾기 3. main 메서드 실행 -main 코드 영역이 열린다. (main..

JAVA,객체지향 2021.10.27

Linux/베이직 커멘드 (nl,입출력기호"<>")

nl : 화면 출력 시 라인 번호와 함께 출력 "|"기호를 사용해서 명령어를 연결한다면 다음과 같이 응용해서 출력해 볼 수도 있다. 입출력 기호 ==redirection > : 입력 리다이렉션 "가 저장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3. 파일 생성하기 주의할 점 기존에 파일이 없다면 생성을 하지만 기존에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다면 덮어씌워져서 기존에 작성됐던 내용이 삭제된다. 4. 파일의 내용을 추가해 주기 ">>"사용 5. 파일의 병합 a파일과 b파일의 내용이 병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먼저 오는 파일의 내용이 위로 가게 된다.

LINUX 2021.10.26

Linux/베이직 커멘드(mkdir,touch,rm/삽입,삭제)(touch,cat,more)

mkdir에 -p를 옵션을 붙여주면 그 경로에 필요한 상위 경로까지 한 번에 구성할 수 있다. 삭제 rmdir(remove directory) ==빈 디렉토리만 삭제 가능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는 아니다. rm( remove) == 파일이나 디렉토리 삭제 삭제하기 싫다면 "n"을 입력해 주면된다. rm -f -f를 사용하면 지울 것인지 말 것인지 물어보는 작업이 생략된다. 그래서 -f를 사용하면 편하긴 하지만 꼼꼼하게 작업하기 힘들기 때문에 잘 확인을 하고 사용하여야 한다.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 삭제하기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를 삭제를 할 때는 rm -r을 사용하고 위 사진과 같이 하위 파일 밑 디렉터리에 대한 동의 작업이 너무 번거로울 때는 rm -rf를 사용한다. 삭제 작업을 할 때. 그리고 -f옵션을 ..

LINUX 2021.10.26

Linux/베이직 커멘드(cp,mv)

현 포스팅에서는 putty로 원격 접속해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베이식 커멘드 cp(copy) == 파일이나 디렉터리 복사 cp [option] [복사할 원본의 경로와 이름(source)] [복사된 사본의 경로와 이름(target)] 테스트를 위한 파일 생성 ex) cp /backup/grub.cfg /home/korea/grub.cfg : /backup에 grub.cfg라는 파일을 /home/korea에 복사를 하겠다. -원본과 사본의 이름을 위와 같이 동일하게 할 경우 사본의 이름은 생략 가능하다. -복사와 동시에 파일명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주의할 점은 위 grub.cfg는 파일이기 때문에 파일명 끝에 "/"를 붙이면 리눅스가 알아듣지 못한다. 리눅스에서는? 표시를 쓰는 의미는 ..

LINUX 2021.10.25

Linux/베이직 커멘드(2)

저번 포스팅에서 이어집니다. 일단 최상위 경로로 간다. 리눅스에 익숙하지 않은데 갑자기 root에 있는 설정 파일들을 건드리게 되면 현제 설정해 놓은 리눅스 가 망가져 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 디렉터리로 이동한 뒤 연습을 해보자 지금 내가 어디에 있는지 지금 현제 어떤 파일이 있는지 잘 모르겠을때는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다. ls(list) == 디렉터리 안에 목록 확인 CLI환경 특성상 천재가 아니라면 정말 많이 쓰게 될 명령어 --help 그리고 ls는 option사용 빈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래서 ls의 option이 궁금할 때는 ls --help 라고 작성하면 해당 명령어의 옵션을 알려준다. man ls 라고 입력하면 보기 쉽게 한글로 번역해서 나온다. 위 창에서 나오려면 q..

LINUX 2021.10.24